"전체" 지역 강,호수 140

개천지 / 조성지

[예전의 못과 현대식 저수지를 동시에 만날 수 있는 곳, 개천지 / 조성지]
*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연못, 개천지 *
1530년(중종 25년)에 간행된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오래된 못이다. 조선 순조 때에 현인복(玄仁福) 고종 때에 남임린(南賃麟) 등 역대의 비안현감과 1913년에 강기덕(康基德) 등 오랜 세월에 황폐된 이 못을 중수하였다는 공덕비가 남아 있다. 규모가 커서 1,000여 정보의 안계평야에 개수(開水)를 공급하고 있다. 현재의 제방은 옛 제방에서 한자리 낮추어서 8.15 광복 직전에 착공하여 공정이 크게 진척되었다가 광복으로 중단되고 수해에 유실되는 비극을 겪기도 하면서 1952년 3월 31일 준공하게 되었다고 한다.
 
1792년(영조 5년)에 간행된 비안현 여지승람(比安縣 輿地勝覽)에는 고개천지(古開天池)와 개천지(開天池)가 나란히 나타나는데 고개천지는 그 규모가 길이 490척, 가로 240척이라 하였고 개천지는 길이가 1,160척, 가로 750척이라 하였다. 유서 깊은 봉성산 아래서 경관이 아름답고 겨울에는 북녘 철새가 날아와 장관을 이루는가 하면 스케이트장이 되기도 하고, 봄부터 가을까지는 소풍객과 태공들이 국내 각처 멀리서 찾아오기도 한다.
 
* 준공 당시 경북 최대의 규모를 뽐냈던 저수지, 조성지 *
구천면의 남쪽에 위치한 조성지는 1952년 11월에 시작되어 1959년 12월에 완공되었으며, 제방 길이 258m, 높이 18m, 물넘이 길이 85m, 저수량 400만톤, 만수면적 60ha, 유역 면적 1,855ha, 수리면적 700여ha로서 준공 당시는 경북 최대의 저수지였다. 1개 마을 40여호가 수몰이 되어 이주했으나, 저수지의 위치나 천혜의 조건이 잘 갖추어져 있는 곳이기도 하다. 저수량에 비해서 제당이 짧은 것이 특징이고, 수심은 깊어 만수면적도 개천지에 비해 넓지 않으나 2배의 저수량을 저수하게 된다. 깊은 산속에 바다처럼 넓은 호수가 있으니 겨울철에는 철새들이 찾아오는 진풍경이 아름답고 최근에는 태공들이 많이 찾아오고 있다.

...더보기

주산지

청송군 부동면 소재지인 이전리에서 약 3km 지점에 있는 이 저수지는 약 270년 전에 준공된 것이다. 길이 100m, 넓이 50m, 수심은 7.8m로 그다지 큰 저수지는 아니지만, 지금까지 아무리 가뭄이 들어도 물이 말라 바닥이 드러난 적이 없다 한다. 특히 저수지 속에 자생하는 약 150년생 능수버들과 왕버들 20여수는 울창한 수림과 함께 아늑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으며, 이 곳에서부터 계곡을 따라 별바위까지 이르는 등산로도 매우 운치있는 경관을 자랑한다. 특히 김기덕 감독의 <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 이라는 영화가 촬영되어 현실세계가 아닌 듯한 아름다운 '주산지'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 영화 덕분에 이제는 여기저기서 많은 여행객들이 찾아올 만큼 유명한 여행지가 되었다. 찾아가는 길이 쉽지는 않은데 서울에서 약 5시간 거리로,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로를 모두 거치고 마지막으로 구불구불한 비포장산길까지 올라서야 그 모습을 마주할 수 있다.

...더보기

안동댐

인공과 자연의 어우러짐, 안동댐
1971년에 착공해서 1976년에 준공되었으며 댐의 길이 612m, 높이 83m, 총 저수량은 12억4,800만톤, 발전용량 9만kw이다. 이 댐은 낙동강 하류의 홍수조절과 농업, 공업용수 및 생활용수 목적으로 건설된 다목적댐이다.
 
수력 발전소에서는 연간 1억 5800만㎾h의 청정 수력 에너지를 생산하여 경상북도 북부 지역에 공급하고 있다. 안동댐으로 조성된 한국 유수의 인공호의 하나인 안동호(安東湖)는 와룡면·도산면·예안면·임동면 등에 걸쳐 저수지 면적이 51.5㎢에 달한다.
 
안동댐 정상에는 수려한 경관과 함께 선착장이 위치하고 있어 유람선 이용이 가능하며, 댐 주위는 낚시터로도 유명하다.
 
[안동댐  현황]
- 형식 : 土石댐,
- 규모 : 높이 83m, 길이 612m, 폭 360m,
- 면적 : 만수면적 51.5㎢, 저수용량 1.248백만㎥
- 발전용량 : 9만kw
- 홍수조절 : 110백만㎥
- 용수공급 : 926백만㎥,

...더보기

운문댐. 동창천

하늘과 구름, 초목을 품에 안은 운문댐은 굽은 길가 어디쯤에서 선을 멈추느냐에 따라 풍경이 달라지니 한시도 눈을 떼어 놓을 틈이 없다. 운문댐 입구에서 갈라지는 두 갈래 길은 경주로 가는 길과 울산으로 가는 길로 나뉘어져 있다. 언제부터인가 댐 도로는 환상의 드라이브 코스가 되었다. 경주 방면으로 차를 몰고 가다가 댐이 끝나는 곳에서 왼쪽 길로 들어가면 정상약수터가 있다. 옛날 구룡산에서 아홉 마리의 용이 승천하면서 지상과의 이별이 아쉬워 흘린 눈물이 떨어져 약수가 되었다는 전설이 있는 곳으로, 이곳 용천 약수물은 동맥경화증, 고혈압, 당뇨, 만성위장병에 효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운문사 가는 길에 잘 생긴 민가들을 만나게 된다. 이 건물들은 댐이 만들어지면서 수몰지역인 순지 마을에서 물난리를 피해 이사를 온 경주김씨 종택과 재실로써 오고가는 길손들과 친구가 된지 오래이다. 물이 맑기로 유명한 동창천은 여름철 피서 인파로 인산인해를 이룬다. 운문댐 바로 밑에 있는 하류보는 노천 수영장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고, 하천 어디든지 앉으면 유원지가 되는 것이 동창천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삼족대가 있는 당호숲이나 지전숲은 해마다 늘어나는 피서객들로 진풍경을 연출한다.

...더보기

영천댐

영천에서 국도를 따라 포항방면으로 5분쯤 가다보면 왼쪽으로 뚫린 지방도로가 있다. 이 길을 따라 20분쯤 가면 눈 앞이 탁 트이는 바다 같은 영천댐이 보인다. 댐의 높이는 42m, 제방의 길이는 300m이고, 총 저수량은 9,640만톤으로 1974년에 착공해서 1980년에 준공되었으며, 포항과 영천의 식수와 공업용수로 활용하고 있다. 이 댐의 건설로 자양면의 6개 법정동이 수몰되기도 했지만 어디서 보아도 물과 산이 어우러진 절경이다.

댐으로 가기 전에 주위의 문화재를 살펴보면, 임고면 양항리에 임고서원이 있고, 선원리에 정용준 가옥, 선원동철불좌상, 환구세덕사, 함계정사 등이 있으며, 선원동을 지나면 삼매리에 정재영가옥 및 산수정, 자양서당, 동인각 등이 있다. 또한 댐 주위를 돌아보면 자양면 성곡리에 강호정, 오회공종택, 하천재, 사의당, 삼휴정, 오회당이 있고, 조금 가다보면 생육신 이경은선생을 기리는 용계서원과 제단, 부조묘 등이 있으며, 댐을 지나 보현쪽으로 가면 충효재가 있다. 한편, 면사무소 뒤 기룡산에는 천년고찰인 묘각사와 거동사가 자리잡고 있다.

...더보기

영일 일월지

옛날 상고시대 신라시대로부터 [해달못]이라고 부르던 것을 한자가 우리나라에 들어와서부터 한자식으로 부르게 되어 일월지라 부르고, 또 해와 달의 빛이 다시 돌아왔다고 광복지라 불렀다. 동쪽과 서쪽 지경이 약 250m, 남쪽과 북쪽의 폭이 약 150m로, 총면적 약 16,529m²(5,000평) 정도의 원형을 이루고 있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신라 제 8대 아달라왕 즉위 4년(157년)에 신라땅 동쪽 일월동 바닷가에 연오랑과 세오녀라는 부부가 살고 있었다. 연오랑은 바다에 나가 고기를 잡는 어부였으며 베를 짜는 세오녀와 함께 금슬좋게 살고 있었다. 어느날 연오랑이 바다에 나가 고기를 잡고 해초를 따던 중, 갑자기 바위가 움직이기 시작하여 동쪽으로 흘러가 어느 섬나라에 도착하게 되었다. 그곳 사람들은 바위를 타고 바다를 건너 온 연오랑을 신비하고 비상한 사람으로 생각하고 왕으로 모셨다. 연오랑이 돌아오지 않음을 크게 슬퍼하던 세오녀는 연오랑을 찾아 헤메다가 연오랑의 신발이 놓인 바위에 오르니 이 바위가 또다시 움직여 연오랑이 있는 섬나라에 도달해 왕비가 되었다. 그 후, 신라에서는 해와 달이 갑자기 빛을 잃고 천지가 어두워지고 이에 놀란 아달라왕은 급히 점을 치게 하니 천지가 어두워진 연유가 연오랑과 세오녀 부부가 바다를 건너가고 없어 이 땅에 해와 달이 빛을 잃었다고 하였다. 이 말을 들은 왕은 사자를 불러 섬나라에 건너간 연오랑과 세오녀를 이 땅에 다시 불러오도록 했다. 그러나 연오랑과 세오녀는, 우리는 이미 하늘의 뜻을 쫓아 이곳으로 건너와 왕과 왕비가 되었으니 다시 갈 수 없다고 말하며 왕비가 손수 짠 비단 한필을 가지고 가서 내가 살던 못가에다 이 비단을 길게 걸고 정성을 모아 하늘에 제사를 지내라고 했다. 이말대로 했더니, 정말로 빛을 잃었던 해와 달이 다시 빛을 찾아 신라땅을 환하게 비추었다고 한다. 이때부터 제사를 지내던 못을 일월지라 하고 이 지역을 도기야라 하였으며 지금도 이 지역을 일월향이라 부르고 있다.

* 일월(日月)과 관계된 유적
1) 일월사당 : 연오랑·세오녀의 설화를 바탕으로, 우리 조상들의 슬기와 우수성에 자부심을 가지고 자랑스러운 해.달 설화를 지역민에게 희망적인 정서 문화로 승화시키는 표본으로 삼고자 복원한 사당이다. 매년 10월에 천지신명(해,달)에 제사를 지냈는데 구 영일군의 일월문화제가 개최되는 해에도 이곳에서 제를 올렸다. 1994년까지는 영일군수가 초헌관이 되었으며, 1995년부터는 영일군과 포항시의 통합으로 포항시장이 초헌관이 되어 포항시의 발전과 시민의 무사태평을 기원하는 일월신제를 올리고 있다.
2) 일월지 : 포항 해병부대 내에 3,000여평 면적의 일월지가 위치. 1992년 영일군비 지원금으로 영일문화원이 주관하여 일월지를 정화하고 수중펌프를 설치하여 일월지의 물을 해병부대 관리 하에 정화시키고 있다. (현재 경상북도 지방기념물 제 120호로 지정되어 있음)
3) 천제단 : 일제 침략전까지 일월지 부근에 신라시대부터 일월에 제사를 드리던 제단이 있어 매년 9월 중앙절에 해와 달에 제사를 드렸다고 하는데, 일제 강점기에 제단을 철거하였다.
4) 일월지 사적비 : 일월지 앞둑 중앙에 있는 것으로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사적비를 철거시켰던 것을 1992년 3월 당시 영일문화원이 주관하여 영일 군비 보조와 해병부대의 인력지원을 받아, 일월지사적비를 건립 하였다.

...더보기

광주호

* 수려한 경관과 다양한 즐길 거리가 있는 호수, 광주호 *
광주에서 동쪽으로 16km 지점에 있는 광주호는 담양호(潭陽湖) ·나주호(羅州湖) ·장성호(長城湖) 등과 함께 영산강(榮山江) 유역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영산강의 지류 고서천을 댐으로 막아 1976년 9월 준공된 호수이다.
4개 호수 중 가장 규모가 작지만, 댐의 길이는 505m, 높이 25m로 결코 작지 않은 크기를 가지고 있다. 담양군 고서면 분향리의 용대산과 그 건너편을 막아 만든 것인데 1974년에 공사를 시작해 1976년에 완공했다.

* 광주호의 볼거리와 즐길거리 *
광주호는 무등산 아래에 위치하여 주변의 수려한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룬 호반 휴양지로서, 어족이 풍부해 낚시터로도 각광을 받아 많은 휴양인파가 찾는다. 광주호 상류 충효동 일대에는 송강 정철의 가사문학 유적지인 식영정을 비롯해 환벽당, 소쇄원, 취가정, 독수정 등의 정자가 자리잡고 있어 조선시대 정원문화의 진수를 보여 주고 있다.

...더보기

왕동저수지

용진산 서쪽 골짜기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른 아침에 피어 오르는 물안개가 장관이다.

...더보기

  맨위로


캠핑장  |  해수욕장  |    |  계곡  |  강,호수

강,호수 정보는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 받았으며, 각 강,호수의 사정에 따라 Campweek(캠프위크)의 정보는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 Copyright 2014. Campweek All rights reserved.
campweek.voc@gmail.com